남파랑길 8코스 창원 장천동상리마을입구-진해드림로드-안민고개-하늘마루-장복산-진해장복산조각공원-창원편백치유의숲 여행기록

♧ 트레킹일자 : 2025.02.03.(월)
♧ 트레킹코스 : 창원 장천동상리마을입구-진해드림로드-안민고개-하늘마루-장복산-진해드림로드입구 // 거리 약 17.2km, 트레킹 시간 약 5시간 28분(식사 및 휴식시간 포함)
※ 여행세부일정
○ 07:02 ~ 07:04 : 장천동상리마을입구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장천동 산1-16
○ 07:13 : 진해드림로드입구
○ 07:26 : 천자봉 등산로 입구
- 창원시 진해구 원포동 산4
○ 07:38 : 사각정자
○ 07:45 : 드림파크(생태숲) 갈림길
○ 07:53 : 천자암
○ 08:02 : 드림파크(목재체험장) 갈림길
- 창원시 진해구 풍호동 산1-1
○ 08:16 ~ 08:27 : 시루봉 등산로 입구
- 풍호초등학교 갈림길
○ 08:34 : 시루봉 등산로 입구
- 자은초등학교 갈림길
○ 08:55 : 생태관광 에코힐링센터
○ 08:57 : 황톳길
- 창원시 진해구 자은동 1
○ 09:37 : 석동 갈림길
- 창원시 진해구 석동 산12-10
○ 09:46 : 진해남중학교 갈림길
○ 09:53 : 안민고개
○ 09:59 : 터널
- 창원시 진해구 경화동 산5-1
○ 10:03 : 하늘마루 삼거리
- 우측 하늘마루 방향으로 진행
○ 10:38 ~ 10:47 : 하늘마루
- 좌 : 하늘마루 전망대, 우 : 장복산
- 남파랑길은 직진
※ 하늘마루전망대를 들렀다 되돌아 와서 장복산으로 진행
○ 11:11 : 능선 헬기장
- 좌 장복산, 우 덕주봉
○ 11:21 : 치유센터 삼거리
- 584봉
○ 11:40 ~ 11:43 : 장복산(582.2m)
- 좌 삼밀사 0.5km, 직진 마진터널 1.2km
○ 12:23 : 진해드림로드 임도
○ 12:32 : 진해드림로드입구 도착 트레킹 종료
- 창원시 진해구 태백동 산84-1
○ 12:42 : 장백산조각공원
○ 12:58 : 창원편백치유의 숲 치유센터
※ 관련 여행기록
- 2023년 진해 장복산-덕주봉-웅산-시루봉-진해드림로드 산행기록 : https://jungwa686.tistory.com/m/15973815
- 남파랑길 7코스 창원 제덕사거리-진해해양공원입구-케이조선소길-행암항 기차길-장천동상리마을입구 여행기록 : https://jungwa686.tistory.com/m/15974224





남파랑길 7코스를 어둠 속에서 걸어 장천동상리마을입구에서 마무리한 후 이어 남파랑길 8코스 트레킹을 시작했습니다.
남파랑길 8코스는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장천동 상리마을입구 상리 버스정류장에서 시작해서 진해드림로드를 걸어 창원시 진해구 태백동 진해드림로드 입구까지 걷는 두루누비 공지거리 15.7km의 코스입니다.







남파랑길 8코스 안내판 앞 횡단보도를 건너 진해대로를 등지고 직진해서 콘크리트 포장도로를 올라 갔습니다.
도중에 여섯번째 사진에 보이는 집을 만났는데 주변에 온통 목공 조형물을 만들어 놓았습니다.
마지막 사진에 보이는 것은 뱀 모습을 한 목공예품이고 다섯번째 사진에 장승도 보였습니다.
식당은 아닌 듯 하고 무엇을 하는 곳인지 궁금하네요.
남파랑길은 이 집 앞에서 우측 도로로 진행합니다.







천자봉과 시루봉 등산안내도를 지나 네번째 사진에 보이는 '진해드림로드' 입구에 도착했습니다.
차량통행을 금하는 펜스를 넘어 들어가 긴 진해드림로드 임도 트레킹을 시작했습니다.
한동안은 서서히 임도를 걸어 고도를 높혀 갑니다.







첫번째 사진에 보이는 천자봉 등산로 입구를 지났습니다.
계속 임도길을 걸어 진해드림로드 입구에서 약 20분 정도 고도를 높히자 길이 완만해지네요.
좌측으로는 나무가지 사이로 진해시내가 내려다 보입니다.
마지막 사진이 육각이 아닌 사각정자 쉼터.







찬란한 3월을 준비하고 있는 벚꽃나무가 늘어선 임도길을 걸어 갑니다.
두번째 사진에 길손에게 쉬어 가라고 비어 있는 의자가 눈길을 끄네요.
세번째 사진에 보이는 드림파크(생태숲) 갈림길을 지나서 작은 암자 천자암에 도착했습니다.
등산안내도를 보니 이곳에서 우측 산으로 오르면 바람재와 수리봉 중간 안부로 올라 가는군요.







진해드림로드에 올라 처음으로 막힘이 없는 진해 바다 모습을 보았습니다.
맞은 편 바다를 향해 튀어 나온 반도지형 앞 작은 섬이 대죽도, 반도 옆에 늘어선 섬이 부도라고 램블러지도에 표기되어 있습니다.
잠시 바다 모습을 본 후 드림파크(목재체험장) 갈림길에 도착했습니다.







네번째 사진에 보이는 풍호초등학교 갈림길에 도착해서 다섯번째 사진에 보이는 정자쉼터에서 식사를 하고 출발했습니다.
오늘 남파랑길 8코스 트레킹의 종점인 장백산조각공원 인근에는 식당이 전혀 없어 새벽에 남파랑길 7코스 걸을 때 장천초등학교에서 간단하게 간식으로 시장기를 면하고 이곳에서 조금 이른 점심식사를 했습니다.
이곳 풍호초등학교 갈림길은 또한 시루봉 등산로 입구이기도 하네요.








두번째 사진에 보이는 "욕먹는 여행'이란 글귀가 눈에 띄어 다시 보니 "浴 욕먹는 여행'이군요!
이제 유명한 편백나무 숲이 시작되나 봅니다.
이곳은 시루봉 등산로 입구입니다.
2023년 3월 벚꽃이 날리던 날 새벽에 장백산조각공원에서 장복산에 올라 덕주봉, 웅산, 시루봉을 거쳐 이곳으로 내려 와서 진해드림로드를 걸었었으니 약 2년만에 다시 이곳에 섰습니다.
이제 이곳부터 하늘마루 갈림길까지는 약 2년만에 다시 걷는 것입니다.







안민고개까지 약 5km가 남았다고 하네요.
2023년에 이곳을 찾았을 때는 이 도로변에 벚꽃이 화려하게 피어 탐방객들로 북적였던 곳이었습니다.
네번째 사진에 보이는 낮익은 정자쉼터를 지나 마지막 사진에 보이는 조형물 앞에 잠시 발길을 멈추었습니다.
무엇을 형상화한 조형물일까요?
다른 산님 한분이 벚꽃을 형상화한 것이라 말씀하시네요.
듣고보니 그런 듯 합니다.







두번째 사진에 보이는 에코힐링센터를 지났습니다.
평일이라서 그런가?
근무하시는 분은 계시지 않습니다.
이어 얼마 지나지 않아 편백나무숲에 조성된 황톳길에 도착했습니다.







편백나무 숲 사이로 황토길을 만들어 놓았고 그 길을 이 추운 겨울에도 맨발로 걷는 분들이 계시네요.
임도길을 걸어 여섯번째 사진에 보이는 정자쉼터를 만났는데 진해 앞 바다 조망을 기대하고 가 보았는데 마지막 사진에 보이는 것처럼 나무가지에 가려 제대로 보이지는 않았습니다.







다시 조금 더 걸어가자 세번째와 다섯번째 사진에 보이는 큰 전망대를 만났습니다.
2023년에 이곳을 찾았을 때에는 이 넓은 전망대가 사람들로 가득 차서 들어 올 생각도 못하고 그냥 지나쳤던 곳인데 오늘은 저 홀로 이곳에서 진해 앞 바다를 보았습니다.
전망대를 지나 마지막 사진에 보이듯이 석동갈림길에 도착했습니다.








안민고개에 도착했습니다.
마지막 두장의 사진에 보이듯이 진해드림로드 표지석과 전망데크 그리고 그 옆에 아이스크림과 커피를 파는 카페가 있는데 역시 오늘은 카페문이 열려있지 않네요.
장천동 진해드림로드입구에서 이곳 안민고개까지 약 2시간 40분을 걸어 왔습니다.
천자봉해오름길이 이곳에서 끝이나고 이제 장복하늘마루길이 시작됩니다.
진해드림로드는 장복산 허리를 가로지르는 임도에 조성한 총 27.4km 길이다. 이맘때면 화려한 단풍나무 군락지를 곳곳에서 만날 수 있다.
각기 다른 매력을 지닌 4개 길 중 취향에 따라 선택하면 되는데, 가장 높은 곳에서 진해 시가지 전경을 파노라마처럼 감상하고 싶다면 장복산조각공원에서 출발해 안민휴게소까지 닿는 '장복하늘마루길'을, 오랜 시간 숨 가쁘지 않게 편히 걷고 싶다면 안민휴게소에서 대발령 쉼터로 통하는 '천자봉해오름길'을 권한다. 목재문화체험장이 있는 드림파크에 들러 자녀와 특별한 추억을 쌓기 좋다.
진해드림로드는 한국관광공사가 관광지의 혼잡도, 교통량, 방역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매긴 '비대면지수'에서 별점 5점 만점에 5점을 받았다. 안심하고 여행할 수 있는 비대면 관광지로 인정받은 셈이다.[출처 : cnbnews]







안민고개를 지나 도로를 걸어 내려오면 네번째 사진에 보이는 터널을 만나게 됩니다.
이곳 진해까지 와서 벚꽃을 보지 않고 그냥 갈 수는 없지요.
터널 내에 있는 진해 벚꽃 핫플레이스 경화역과 여좌천 로망스다리 벚꽃 모습으로 대리만족하고 갑니다.
마지막 사진은 터널을 지나 데크로드에서 본 진해 경화동과 태백동 일원의 모습입니다.







터널을 지나 조금 더 내려오면 세번째와 네번째 사진에 보이는 삼거리를 만나고 여기서 우측 임도를 걸어 올라 하늘마루로 향했습니다.
2023년 3월 이곳을 찾았을 때에는 이곳에서 좌측으로 내려가 경화동으로 향했었습니다.








하늘마루 오르는 길...
하늘마루라는 이름에 걸맞게 계속 걸어 올라 고도를 높히는 길입니다.
고도가 높아지는 많큼 진해 바다 조망은 더 열리네요.
여섯번째 사진에 보이는 덕주봉 등산로 입구를 지나 드림로드 영문 표지에서 잠시 쉬어 갑니다.







하늘마루에 도착했습니다.
안민고개에서 이곳 하늘마루까지 약 45분 걸렸습니다.
남파랑길은 이곳에서 직진해서 임도를 걸어 내려가고 하늘마루 전망대는 마지막 사진에 보이듯이 좌측으로 데크로드를 걸어 약 180m 올라 갑니다.
그리고 장복산은 우측 네번째 사진에 보이는 들머리를 통해 산길을 올라가야 합니다.
일단 오늘 저는 이곳에서 좌측 하늘마루 전망대를 들렀다가 되돌아 와서 남파랑길을 접고 우측 장복산으로 향할 예정입니다.







하늘마루에서 좌측 데크로드를 올라 하늘마루 전망대에 도착했습니다.
아래로 진해 경화동과 태백동 일원이 내려다 보입니다.
잠시 진해 앞 바다 조망을 보며 쉬었다가 하늘마루로 되돌아 갔습니다.







하늘마루 전망대에서 다시 하늘마루로 내려와 장복산으로 향했습니다.
이곳에서 장복산까지는 약 1.8km라고 이정표에 기재되어 있습니다.
산길은 뚜렷한 편인데 상당히 급한 오름길이 이어 집니다.
마지막 사진에 보이듯이 고도를 조금 높히자 진해 시내 모습이 내려다 보이네요.







하늘마루에서 약 24분 산길을 올라 장복산에서 덕주봉, 웅산, 시루봉, 천자봉으로 이어지는 능선에 올랐습니다.
능선에 오르니 세번째 사진에 보이듯이 헬기장입니다.
예서 좌로 가면 장복산, 우로 가면 덕주봉입니다.
다섯번째 사진에 장복산과 전위봉(584봉)이 보이네요.







2023년 3월 이곳을 찾았을 때에는 어둠속에서 이 길을 걸어 덕주봉으로 향했었는데 오늘 비로소 아름다운 능선길을 제대로 즐기며 걷습니다.
다만, 벚꽃이 업따!
치유센터 갈림길에 도착했습니다.
치유센터에서 이곳까지 거리가 1,750m이니 제가 올라온 하늘마루에서 올라온 거리보다는 약간 먼 거리입니다.







드림로드에서 볼 때보다 역시 고도가 높은 장복산 능선에서 더 막힘이 없이 진해 바다가 잘 보입니다.
세번째 사진에 멀리 보이는 봉우리가 웅산인 듯하고 다섯번째 사진에 장복산이 보입니다.
능선길을 걸어 장복산 앞에 있는 전위봉인 584봉에 올랐습니다.






데크로드계단길을 올라 장복산 정상에 올랐습니다.
정상에 오르니 조망이 막힘이 전혀 없습니다.
첫번째 사진이 진해 바다 모습이고 세번째 사진은 정상에서 본 창원 방면 모습입니다.
경상남도 창원시의 성산구 성주동과 진해구 여좌동에 걸쳐 위치한 산이다(고도 : 593m). 안민고개를 지나 동쪽으로 웅산과 이어지며, 서쪽은 산성산과 이어진다. 산세가 벽처럼 솟아 있어 장벽산이라 부르기도 한다. 삼한시대에 장복(長福)이라는 사람이 이 산에서 말을 타고 무예를 익혔다는 전설에서 장복산이라는 지명이 유래하였다. 혹은 장복산의 '장(長)'이 중심을 뜻하는 '알, 얼'을 한자로 표현한 것으로 중심산이라는 뜻에서 지명이 유래하였다고도 한다.
『여지도서』(웅천)에 "현 서쪽 30리에 있다. 불모산의 서쪽 줄기[脚]다."라는 기록이 있다. 또한 같은 문헌의 창원부에도 "부 남쪽 20리에 있다. 불모산에서 이어진다."라고 나타난다. 『세종실록지리지』(창원)에 장복산(長卜山)이라 나타난다. '복(卜)' 자를 통해 장복산이 이 지역에서 중심산의 기능을 하였음을 짐작하기도 한다. 『해동지도』(창원)에는 남서쪽 웅천과의 경계에 장백산(長白山)이라 기록되어 있으며, 같은 문헌의 웅천현에는 장복산(長福山)이라 기록되어 창원부의 기록이 오기로 보인다.[출처 : 한국지명유래집]







장복산 정상에서 잠시 조망을 보면서 머물렀다 하산을 시작했습니다.
정상부에서 내려서자 여섯번째 사진에 보이는 이정표가 보입니다.
좌측으로 내려가면 삼밀사, 직진해서 하산하면 마진터널입니다.
길은 마진터널 쪽이 완만하게 내려 간다고 하지만 거리가 0.5km로 짧은 삼밀사로 내려 갑니다.







하산길이 상당히 급하고 험합니다.
2년전 어둠 속에서 이곳을 어떻게 올라 왔는지 궁금하네요.
그때도 길이 잘 안보이고 급하다는 생각은 했었는데 어두워서 눈에 뵈는 것이 없어 용감했던 것 같습니다.
마지막 사진에 보이는 곳에 내려서자 비로소 길이 뚜렷해 졌습니다.








첫번째 사진에 보이는 365계단 종점을 지나 장복산에 오르느라 잠시 이탈했던 남파랑길 임도로 내려 섰습니다.
임도에 내려서서 우측 임도를 걸어 내려가 남파랑길 8코스 종점 진해드림로드입구로 향했습니다.







세번째 사진에 보이는 진해드림로드입구에 도착하니 옆에 남파랑길 9코스 안내판이 서 있습니다.
이곳에서 남파랑길 8코스 트레킹을 마무리하고 쉬었다가 장복산조각공원으로 들어 왔습니다.









조각공원 중앙도로를 걸어 내려 오면서 도로변 작품들을 살펴 보았습니다.
첫번째 사진에 보이는 작품은 임광용 작가의 '門-바다로 가는 길', 두번째 사진에 보이는 작품은 허파양 작가의 '새로운 길', 세번째 사진은 김정혜 작가의 '천사들과 모자상', 네번째 사진에 보이는 작품은 임형준 작가의 '소리-Bruit 2005', 다섯번째 사진은 정영훈 작가의 '퓨어맨'이라고 하네요.
장복산조각공원을 내려와서 마지막 사진에 보이는 창원편백치유의 숲 치유센터에 도착해서 귀가를 위해 안내산악회 버스에 올랐습니다.
☞ 트레킹을 마치고..[ 장복산에서.. ]☜

남파랑길 트레킹을 기회로 2년전 벚꽃산행으로 찾았던 장복산과 진해드림로드를 다시 걸었습니다.
겨울이라 비록 화려한 벚꽃과 진달래꽃은 볼 수 없었지만 호젓하고 여유있게 걸었습니다.
역쉬 아쉬운 것은 진해드림로드와 장복산조각공원에는 식당이 없어 긴 시간 안내산악회 버스를 타고 귀경하면서 살짝 배고품을 참아야 했다는 것....
♧ 겨울사랑 ♧
- 글 박노해
사랑하는 사람아
우리에게 겨울이 없다면
무엇으로 따뜻한 포옹이 가능하겠느냐
무엇으로 우리 서로 깊어질 수 있겠느냐
이 추운 떨림이 없다면
꽃은 무엇으로 피어나고
무슨 기운으로 향기를 낼 수 있겠느냐
나 언 눈 뜨고 그대를 기다릴 수 있겠느냐
눈보라 치는 겨울밤이 없다면
추워 떠는 자의 시린 마음을 무엇으로 헤아리고
내 언 몸을 녹이는 몇 평의 따뜻한 방을 고마워하고
자기를 벗어버린 희망 하나 커 나올 수 있겠느냐
아아 겨울이 온다
추운 겨울이 온다
떨리는 겨울 사랑이 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