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행일 : 2009. 5. 29.(금)
■ 산행코스
▲▲ 계란재-(1.4)-삼거리갈림길-(0.9)-옥순봉-(0.9)-삼거리갈림길-(0.6)-구담봉-(0.6)-삼거리갈림길-(1.4)-계랸재
// 이상 도상거리 5.8km
▲산행시간: 약 2시간 11분 (휴식시간 포함)
■ 이동경로 및 산행코스
[5/29(금)]
○ 14:47 : 계란재 도착
○ 14:50 : 계란재 출발 산행시작
○ 15:02 : 임도 끝 개활지 지나 산길로..
○ 15:09 : 삼거리갈림길(367m)(← 옥순봉 0.9km, → 구담봉 0.6km)
○ 15:26 : 옥순봉 직전 전망대
○ 15:29 - 15:35 : 옥순봉
○ 16:05 : 삼거리갈림길(367m)(← 옥순봉 0.9km, → 구담봉 0.6km)
○ 16:27 : 구담봉
○ 16:38 : 삼거리갈림길(367m)(← 옥순봉 0.9km, → 구담봉 0.6km)
○ 16:58 : 계란재 도착 산행종료
(이상 산행시간 : 2시간 11분, 휴식시간 포함)
마침 사무실 워크숍이 단양에서 있었습니다.
단양IC인근에 있는 당동리 갈매기식당에서 점심식사를 하고 대명콘도로 이동하기 전 간단하게 옥순봉과 구담봉을 둘러보기로 합니다.
당초에는 장회나루에서 유람선을 타고 청풍나루까지 다녀올려고 했는데 성원(30명)이 안되어 배가 출발하지 못하는군요!!
장회나루 주차장에서 출발하여 우측 제천방면으로 약 3분 정도 승용차로 이동하면 고개 정상부 우측에 작은 주차장이 있습니다.
이곳이 산행 들머리인 계란재입니다.
주차면적은 소형차 약 7-8대 정도 주차가 가능할 듯...
한켠에는 등산안내도와 단원 김홍도 어르신이 남기신 옥순봉도와 그 유래에 대한 안내문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결론 부터 이야기하면 이고장 두항리 출신 명기 두향아씨가 퇴계 이황 당시 단양군수님에게 옥순봉을 단양땅으로 해달라고 졸랐고
이 청을 거절 못한 이황어르신이 당시 제천군수이셨던 이지번(?)(이산해의 삼촌) 어르신께 단양땅으로 하자고 술한잔하면서 말했고
이지번 어르신은 아주 아주 난처하여 답을 하지 않자, 단양으로 돌아오시는 길에 이황어리신께서 옥순봉 암벽에 '단구동문(丹口東門)'
즉 단양으로 들어오는 동쪽 문이라는 글귀를 새겼다는 뭐 그런 이야기 입니다.
단원 김홍도의 옥순봉도는 단원이 남기신 몇 안되는 산수화 중 하나라고 하더군요!!!
주차장을 출발해서 마지막 간이 화장실이 나타나고 이후로는 포장된 산림도로를 따라 진행합니다.
┗☞임도끝.. 작은 개활지를 지나 산길로..☜┛ |
산행을 시작한지 약 12분 후 포장된 임도가 끝이 나고 작은 개활지가 나타납니다.
개활지를 지나 산길로 접어들어 우측으로 진행합니다.
계란재를 출발해서 약 20분이 조금 못되어 옥순봉/구담봉 갈림길 삼거리에 도착합니다.
예서 잠시 쉬어갑니다.
좌측으로 진행하면 옥순봉 그리고 우측으로 진행하면 구담봉 가는 길입니다.
먼저 옥순봉을 다녀와서 구담봉으로 향하려고 합니다.
갈림길 삼거리에서 옥순봉 쪽으로 약 3미터 정도 이동하면 멋진 전망대가 있습니다.
맞은 편 말목산과 둥지봉으로 연결되는 암릉능선의 모습까지도 조망이 됩니다.
삼거리갈림길의 해발이 367m 그리고 옥순봉의 해발이 283m입니다.
옥순봉을 가기 위해 적어도 해발 100m 이상 삼거리 갈림길에서 내려갑니다.
마지막 사진은 갈림길에서 내려서서 안부에서 다시 옥순봉으로 오르면서 되돌아본 구담봉 방면의 모습입니다.
삼거리 갈림길을 내려서서 안부에서 다시 옥순봉을 향해 암릉구간을 올라서자 멋진 전망대가 나타납니다.
앞으로는 둥지봉의 모습이 우측으로는 강 건너 말목산과 구담봉의 모습이 한 눈에 들어옵니다.
옥순봉 직전전망대에서 채 5분이 안되어 옥순봉 정상에 도착했습니다.
정상에는 저렇게 정상목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옥순봉에서의 조망이야 말해 뭘하겠습니까??☜┛ |
정상에서의 조망은 전후좌후 막힘이 없습니다.
정면으로 강건너 말목산과 둥지봉이 그 너머로는 가은산 줄기가 그림같이 펼쳐져 있고, 우측으로는 구담봉 산줄기가 펼쳐집니다.
뒷편으로는 옥순봉과 떼 놓을 수 없는 슬픈 연가를 남긴 단양의 명기 두향이 태어났다는 두항리까지 ...[맨 마지막 사진]
그리고 좌측으로는 비록 물이 많이 빠졌지만 도도히 흐르는 청풍호의 모습이 눈 앞에 나타납니다.
그 옛날 퇴계 이황과 두향아씨도 거문고를 들고 이곳에서 프라토닉 사랑을 꿈꾸었을까요??
♣ 두향에게 ♣
黃卷中間對聖賢(황권중간대성현) 누렇게 바랜 옛 책 속에서 성현을 대하며
虛明一室坐超然(허명일실좌초연) 비어 있는 방안에 초연히 앉았노라
梅窓又見春消息(매창우견춘소식) 매화 핀 창가에서 봄소식을 다시 보니
莫向瑤琴嘆絶絃(막향요금탄절현) 거문고 마주 앉아 줄 끊겼다 한탄을 말라
- 퇴계 이황이 두향에게 보낸 시-
단양의 관기였던 두향은 이곳 두항리 출신으로 단양군수로 부임한 퇴계 이황이 아꼈던 기생이며 거문고에 능하고 매화를 아주 아꼈던
여인이라고 전합니다.
퇴계 이황이 죽은 후 강 건너 말목산 밑 강선대에 초막을 짓고 살다가 청풍호에 몸을 던져 죽었다고 하고 지금도 이곳 단양에서는 매년
5월이면 두향제를 지내고 있습니다.
♥ 두향이 퇴계 이황에게 보냈다는 시조 한수 ♥
이별이 하도 설워 잔 들고 슬피 울 제
어느덧 술 다 하고 님마저 가는구나.
꽃지고 새우는 봄날을 어이할까 하노라.
옥순봉 정상에서 멋진 조망을 즐기다 다시 삼거리 갈림길로 향합니다.
옥순봉을 출발해서 약 30분 후 다시 삼거리갈림길로 돌아왔습니다.
일행들을 잠시 기다렸다가 힘들어하는 몇분만 제외하고 나머지는 모두 구담봉으로 향합니다.
옥순봉과는 달리 이곳에서는 저멀리 장회나루터와 그 뒤 제비봉의 모습이 먼저 눈앞에 들어옵니다.
날아오르는 제비의 모습인가요??
이정표가 있는 안부에서 바라본 강건너 둥지봉의 모습도 아주 압권입니다.
작년에 찾았던 말목산과 둥지봉의 산행이미지가 떠올라 혼자 웃었습니다.
그때 알바 한번 크게 했는데 ㅎㅎ
맞은 편에 있는 구담봉을 바라보고 아쉽지만 발길을 돌려야 했습니다.
오늘은 산행하러 단양에 온 것이 아니라 워크숍을 하러 온 것입니다.
예정된 세미나 시간에 너무 여유가 없어 아쉽지만 발길을 돌리기로 합니다.
청풍호와 말목산 그리고 그 맞은편 제비봉의 모습이 한눈에 들어오는군요!!
구담봉 직전에서 발길을 돌려 다시 삼거리갈림길로 되돌아 왔습니다.
천천히 여유를 가지고 이모조모를 살피며 산행하면 정말 남길 이미지가 많은 곳인데.. 아쉽습니다.
발길을 돌려 약 11분 후 삼거리갈림길에 도착했습니다.
구담봉으로 따라오지 않은 일행들은 이미 계란재로 내려가버렸나 봅니다.
서둘러 계란재주차장으로 발길을 돌립니다.
삼거리갈림길에서 약 20분이 지나 계란재 주차장에 도착하여 일행들과 합류합니다.
이어 근처 하선암으로 잠깐 이동하여 맑은 계곡에서 탁족을 한 후 대명콘도로 향하였습니다.
청풍호반을 끼고 있는 옥순봉과 구담봉은 인근 제비봉과 말목산, 둥지봉과 가은산과 더불어 명승으로 각광을 받는 곳입니다.
더불어 퇴계이황, 토정 이지함, 단원 김홍도 등의 사연이 남아 있습니다.
위 옥순봉도는 단원이 남긴 몇 안되는 산수화 중 하나로 김홍도가 현풍현감으로 봉직하던 시기에 남긴 화첩에 들어 있다고 합니다.
또한 이곳은 퇴계이황을 만나 그를 사랑하고 그가 죽은 후 이곳 건너편 말목산 밑 강선대에서 몸을 던져 죽은 거문고와 매화를 사랑한
단양의 여인 두향의 이야기가 남아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그 때문인가??? 퇴계 이황선생의 후손들과 후학들이 그녀를 기리며 남긴 시들이 또한 남아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비록 세미나 일정을 쪼개어 찾은 짧은 산행이었지만 역시 이곳은 올때마다 새로운 생각을 들게 하는 그런 곳입니다.
♧ 찬자리 팔베개에 ♧
轉輾寒衾夜眠(전전한금야면)
鏡中惟悴只堪憐(경중유췌지감련)
何須相別何須苦(하수상별하수고)
從古人生未百年(종고인생미백년)
찬 자리 팔베개에 어느 잠 하마 오리
무심히 거울 드니 얼굴만 야윗고야
백년을 못 사는 인생 이별 더욱 설워라.
- 두향이 퇴계 이황에게 보낸 한시 -
♧ 두향묘시 ♧
- 글 퇴계의 10대손인 이휘재가 1800년대 무렵 두향의 무덤을 찾아 술잔을 올리며.. 그의 운산집에 수록됨
그윽한 옛 혼 강선대에 향기로운데
석자 외로운 무덤에 물결이 굽이치네
갯가의 봄시름에 풀빛조차 어두우니
달이 뜨면 학들도 응당 날아들리라
꽃다운 이름은 시와 노래에 실려오고
옛일을 서로 전하며 술잔을 올리도다
마을 사람에게 잘 지켜지기를 부탁은 했건만
해는 져도 돌아오는 뱃길이 마냥 더디구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