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트레킹일자 : 2025.02.17.(월)
♧ 트레킹코스 : 창원 진해드림로드입구-양곡소공원-봉암교-마산수출자유지역-임항선그린웨이-마산항입구 // 거리 약 15.2km, 트레킹 시간 약 4시간 09분(식사 및 휴식시간 포함)
※ 여행세부일정
○ 00:15 : 경부고속도로(하행) 죽전정류장
○ 04:07 : 창원편백치유의숲 치유센터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태백동 87-2
○ 04:15 : 진해드림로드입구
○ 04:22 : 마진터널 입구
- 터널입구에서 우측 산길로 진행
○ 04:32 : 장복산 삼거리 안부
- 좌측 숲속나들이길 방향으로 진행
- 창원시 진해구 현동 산1-1
○ 04:54 : 양촌,신촌 갈림길
- 창원시 성산구 완암동 산20-2
○ 05:17 : '장복산길' 도로
- 창원시 창원시 성산구 양곡동 산39-3
○ 05:41 : 양곡소공원
- 양곡천 산책로
○ 05:57 : 웅남동행정복지센터
- 창원시 성산구 신촌동 35
○ 06:08 : 신촌광장교차로
※ 교차로를 만나 오후 3시 방향으로 진행하다 형단보도를 건너 다시 좌측으로 걸어 내려가야 함.
○ 06:27 : 봉암교
- 창원시 성산구 양곡동 830-1
○ 06:35 : 봉암1삼거리
- 봉암2삼거리
○ 06:54 : 팔룡교
- 창원시 마산회원구 봉암동 666-64
○ 07:15 : 제3부두
- 창원시 마산회원구 무역로 27
○ 07:24 : 합포초등학교
- 창원시 마산합포구 산호동 404-3
○ 07:36 : 6호광장
- 창원시 마산합포구 상남동 462-304
- 3.15의거 기념비
○ 07:53 : 임항선그린웨이
- 창원시 마산합포구 성호동 51-9
○ 08:05 : 3.15의거 기념탑
- 창원시 마산합포구 서성동 85
○ 08:24 : 마산항입구 도착 트레킹 종료
- 창원시 마산합포구 중앙동2가 1-423
※ 관련 여행기록
- 남파랑길 8코스 창원 장천동상리마을입구-진해드림로드-안민고개-하늘마루-장복산-진해장복산조각공원-창원편백치유의숲 여행기록 : https://jungwa686.tistory.com/m/15974225





오늘은 남파랑길을 이어 갑니다.
지난 2월 3일 남파랑길 7, 8코스 경남 창원시 진해구 제덕사거리부터 진해드림로드입구까지 걸었는데 오늘은 남파랑길 9,10코스로 진해드림로드입구에서 마산항을 거쳐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구산초등학교 구서분교 앞 사거리까지 걸을 예정입니다.
남파랑길 9코스는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태백동 진해드림로드입구에서 창원시 마산합포구 마산항 입구까지 걷는 코스로 두루누비 공지거리가 14.9km인 코스입니다.







안내산악회 버스가 창원편백치유의숲 치유센터 앞 도로변에 정차했습니다.
가로등 불빛에 의지해서 간단하게 트레킹 준비를 마친 후 도로를 걸어 올라 장복산조각공원으로 내려가는 입구를 지나 다섯번째와 여섯번째 사진에 보이는 진해드림로드입구에 도착했습니다.
이어 계속 도로를 걸어 마진터널로 향했습니다.







마진터널로 올라가는 도로 좌측에 세번째 사진에 보이는 것처럼 순직비가 보였습니다.
1979년 태풍 쥬디가 몰고온 폭우 산사태에서 마전터널 이용 귀가자와 차량들을 안전하게 대피시키던 중 발생한 산사태로 꽃다운 나이에 숨진 8인의 해군장병의 넔을 위로하는 순직비입니다.
순직비를 지나 네번째 사진에 보이는 것처럼 마전터널 앞에 도착했습니다.
이곳에서는 사진에 보이는 것처럼 터널 앞 우측 장복산 등산로 산길로 올라 갑니다.







안내산악회 버스 안에서 내내 졸다가 버스에서 내려 이른 새벽에 몸이 아직 깨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산길을 오르니 몸이 천근만근입니다.
가쁜 숨을 몰아 쉬며 능선에 오르자 두번째와 세번째 사진에 보이는 정자가 있는 삼거리 안부에 도착했습니다.
마전터널 입구에서 약 10분 정도 올라 왔습니다.
이곳에서 우측으로 1.3km 올라가면 장복산 정상이고 남파랑길은 계속 직진합니다.
지난번 남파랑길 8코스 트레킹 때 장복산 정상에서 진해드림로드입구로 내려올 때 거리가 짧다는 이유로 마전터널 방향을 접고 험한 삼밀사 방향으로 내려오면서 아주 후회했었는데 역시 마전터널 방향으로 하산했어야 했다는 생각을 다시 한번 했습니다.







어둠 속에서 곧게 솟은 편백나무 숲길을 걷는 도중에 다섯번째 사진에 보이듯이 좌측으로 마전터널로 내려가는 길이 보였습니다.
장복산 삼거리 안부에서 약 22분 지나서 마지막 두장의 사진에 보이는 양곡,신촌 갈림길에 도착했습니다.
물론 이곳에서도 남파랑길은 양곡, 신촌방향으로 직진해서 걸어 갑니다.







마전터널 입구에서 장복산 등산로로 올라 약 55분 지나서 마지막 사진에 보이는 '장복산길' 도로로 내려 왔습니다.
사진에 보이듯이 비록 어둠 속이었지만 산행 내내 울창한 편백나무숲 속을 걸었네요.
이제 창원시 성산구 양곡동으로 넘어 왔습니다.
장복산길 도로로 내려서서 우측으로 도로를 걸어 내려 갔습니다.








도로를 걸어 내려가 진해마산1교 교각 아래를 지나 관음사 입구를 지나서 횡단보도를 건너 우측으로 '진해대로'를 걸어 내려가서 네번째 사진에 보이는 양곡교 교각과 다섯번째 사진에 보이는 진해마산3교 교각 아래를 지나 여섯번째 사진에 보이는 삼거리에서 오후 2시 방향 양곡소공원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이어 창원마산교 교각을 따라 걸었습니다.








양곡천 표지를 만났습니다.
어둠 속이라 잘 보지 못했는데 좌측으로 하천이 흐르고 있었네요.
양곡교 다리를 건너 우측에 양곡천을 두고 천변 탐방로를 걸어 내려 갔습니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양곡소공원으로 들어 왔습니다.







양곡소공원에서 첫번째 사진에 보이는 양곡산책교 다리를 건너 좌측에 양곡천을 두고 천변 산책로를 걸어 내려 갔습니다.
도심 한가운데 양곡천을 따라 멋진 도보탐방로를 만들어 놓았습니다.
마지막 사진에 보이는 것처럼 중간 중간 체육운동기구들도 구비되어 있습니다.







양곡천 산책로를 걸어 내려와서 다섯번째와 여섯번째 사진에 보이는 웅남동행정복지센터 앞을 지났습니다.
창원시 성산구 양곡동에서 이제 신촌동으로 건너 왔습니다.







웅남동행정복지센터에서 약 10분을 걸어 내려오자 첫번째와 두번째 사진에 보이는 신촌광장교차로를 만났습니다.
이곳 시내교차로에서 직진 방향으로 건너 좌측으로 봉암교를 향해 내려가야 하는데 통행량이 많은 이곳 시내교차로에서는 불가능합니다.
남파랑길 안내표지는 일단 첫번째 사진에 보이는 오후 3시 방향 횡단보도를 건너 약 4분 직진해서 걸어가다 다섯번째 사진에 보이는 횡단보도가 보이면 건너서 좌측으로 계속 내려 갑니다.
가로등 지주대나 분전함에 안내표지가 적시에 붙어 있어 주의를 기울여 살펴야 고생하지 않습니다.
마지막 사진에 '봉암교교차로' 안내판이 보입니다.







봉암교 교차로를 지나자 봉암교로 연결되는 주도로인 '봉암로' 우측 도로변을 걸어 세번째 사진에 보이는 다리를 건너 '봉암로' 반대편으로 돌아 갑니다.
다섯번째 사진이 다리 위에서 바라본 마산만 새벽 모습입니다.







첫번째 사진이 '봉암교' 교각인데 아래를 지나 조금 걸어 다시 좌측으로 도로 위로 올라 세번째와 네번째사진에 보이듯이 '봉암로' 반대편으로 건너 왔습니다.
이어 봉암교 다리를 만나 건너 갑니다.
마지막 사진이 봉암교 위에서 본 마산항 제3부두 방면 모습입니다.
봉암교 다리를 건너서 저 해변을 걸을 것입니다.







봉암교를 건넜습니다.
도로를 걸어 조금 내려가 다섯번째 사진에 보이는 주유소를 지나 좌측으로 진행합니다.
이어 횡단보도를 건너 해변도로인 '무역로'를 만나 우측으로 해변을 따라 걸어 내려 갑니다.
봉암교를 건너 창원시 성산구 양곡동에서 마산회원구 봉암동으로 넘어 왔네요.







새벽 바람이 아주 매섭습니다.
무역로 해변산책로를 걸어 내려 갑니다.
램블러지도를 보니 도로 건너편은 마산자유무역 지구입니다.
세번째 사진에 보이듯이 뒤를 되돌아 보니 멀리 붉은 기운이 산위로 퍼지네요.
아무래도 마산에 와서 일출보기는 어려울 듯 합니다.
아마도 저 산이 마산의 진달래 명산 무학산으로 보입니다.







두번째 사진에 보이는 팔룡교를 건넜습니다.
이어 계속 좌측에 바다를 두고 산책로를 걷다 산책로가 끝이 나고 시내길로 접어 들었습니다.
해변 산책로를 약 23분 정도 걸었습니다.
아울러 창원시 마산회원구 봉암동에서 양덕동으로 건너 왔습니다.







시내도로를 걸어 네번째 사진에 보이는 제3부두 앞을 지났습니다.
다섯번째 사진은 마산자유무역지역관리원입니다.
이어 '수출자유지역교' 다리를 건넜습니다.
마지막 두장의 사진이 '수출자유지역교' 위에서 본 모습입니다.







수출자유지역교를 건너 창원시 마산회원구에서 마산합포구로 넘어 왔습니다.
이어 두번째 사진에 보이는 합포초등학교 앞을 지났습니다.
네번째 사진에 보이는 역사와 문화가 숨쉬는 벽화거리에 들어서서 아침식사를 하기 위해 적당한 장소를 찾는데 마땅한 장소가 없습니다.
하는 수 없이 바람만 피할 수 있는 골목길로 들어 갔는데 뜻밖에도 이곳에서 다섯번째 사진에 보이는 김주열 열사를 만났습니다.
대한민국 헌법 제1조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며,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기본정신을 거스르려는 자들에 항거하다 순국한 분을 이렇게 여기서 뵙습니다.
식사를 마치고 조금 지나 천주교 상남동성당을 지났습니다.







첫번째 사진이 6호광장 모습입니다.
이름이 WHY 6호광장인가요?
아무리 보아도 5거리 교차로인데??
이에 대해서는 뉴스경남 기사를 보니 "실제 하늘에서 찍은 육호광장 사진을 보면 광장과 접한 길이 5개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보면 마산 상남초등학교로 빠지는 작은 길이 하나 더 있다. 그 길을 포함하면 6거리가 맞다. 지금은 광장 한편에 교통섬(안전을 위해 보행자가 대기할 수 있게 만든 공간)이 만들어져 5거리처럼 보이지만, 교통섬이 생기기 전에는 6거리처럼 보였을 수 있다”고 합니다.
하여튼 이곳에서는 두번째 사진에 보이는 지하도로 들어가서 반대편 도로로 건너가 진입 지점에서 오전 10시 방향 도로로 진행해야 합니다.
이어 네번째와 다섯번째 사진에 보이듯이 '3.15의거 기념비'를 만났습니다.
이어 북마산가구거리를 지나 마지막 사진에 보이는 '임항선그린웨이' 입구에 도착했습니다.
3월 15일 선거 당일, 자유당의 관권에 의해서 일방적으로 자행된 부정선거에 격분한 시민과 학생으로 이루어진 평화적 시위대는 이를 강제해산시키려는 경찰과 투석전으로 맞섰다. 경찰의 발포로 희생자가 생기자 극도로 격분한 시위대는 남성파출소를 비롯한 경찰관서와 국회의원 및 경찰서장 자택을 습격, 80여 명(사망 7명)의 사상자를 냈고, 주모자로 구속된 26명은 공산당으로 몰려 혹독한 고문을 당했다.
4월 11일, 1차 발포 때 사살당한 김주열(金朱烈)의 시체가 오른쪽 눈에 최루탄이 박힌 채 바닷가에서 발견되자 이에 흥분한 시민이 궐기하여 경찰의 만행을 규탄했다. 이러한 마산시민의 항의는 부정선거를 규탄하고 당국의 시정을 요구하는 데모를 전국적으로 확산시켜 4 ·19혁명의 도화선이 되었다.[출처 : 두산백과]








이제 임항선그린웨이를 걷기 시작했습니다.
임항선은 경전선 마산역에서, 북마산역, 신마산 역, 마산항 역을 잇는 노선으로 1905년에 개통하여 2011년 2월 폐지되었는데 ‘임항선’ 폐 철길을 활용하여 2015년에 공원으로 만든 것이 '임항선그린웨이'라고 합니다.
코리아둘레길을 여행하다 보니 폐철로를 이용한 도보 산책로 경험이 꽤 있습니다.
우선 남파랑길에서는 남파랑길 53코스 여수 전라선 옛철길과 남파랑길 7코스 창원 행암항 기차길이 있고 해파랑길 2코스 동해남부선 옛철길, 서해랑길 55코스 군산 경암동철길마을 그리고 가까운 수도권에서는 팔당대교 북쪽에 위치한 옛 팔당역에서 폐철로를 따라 양평 읍내까지 이어지는 30km 남짓한 길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각지역마다 페철로를 이용해서 관광상품을 만들 때 각기 다른 이미지에 특유한 색깔을 입혀 운영하고 있는데 이곳 임항선 옛 철길은 또한 다른 색깔을 가지고 있네요.
일곱번째 사진에 화려하고 강렬한 색상의 여성이 벽화 속에 살아 있습니다.
마지막 사진은 철길 옆 멋진 카페입니다.







소백산을 가르는 철길 아래 작은 산촌마을에서 나고 어린 시절을 보냈던 저에게는 어린 시절 기억을 소환하는 그림을 만났습니다.
두번째와 세번째 사진에 보이는 역무원 아자씨는 옛 고향마을에서 철길을 건너가던 선로반 이미지와 너무 똑 같았습니다.
철길을 걸어 몽고정 안내문을 만났습니다.
옛 고려시대에 왜 정벌에 실패했던 몽고군이 식수원으로 사용했던 우물이라 하네요.







임항선그린웨이를 걸어 마산가도교 다리를 건넜습니다.
마산가도교 아래 첫번째와 두번째 사진에 보이듯이 3.15의거기념탑이 보입니다.
다리를 내려가 기념탑을 보고 갈까 잠시 고민하다 3.15의거기념비를 본 것으로 만족하고 그냥 PASS합니다.
네번째 사진에 보이듯이 옛 임항선 선로 일부를 원형 그대로 보존하고 있네요.






임항선그린웨이를 지나 마산항 입구에 도착해서 남파랑길 9코스 트레킹을 마감했습니다.
잠시 주변에 있는 시비를 둘러보고 이어 남파랑길 10코스 트레킹을 이어 갔습니다.
☞ 트레킹을 마치고..[ 양곡천산책로 ]☜

남파랑길 9코스는 초반 장복산 산허리를 걷는 산행길을 제하면 대부분 시내와 해안도로를 걷는 코스입니다.
다만 짧았지만 양곡천 산책로 야경이 아주 예뻤습니다.
학창시절 배웠던 마산 3.15의거 흔적들을 이제서야 만났던 것도 나름 의미가 있었고 임항선철길도 새로운 경험이었습니다.
♧ 오빠 생각 ♧
- 글 최순애
뜸북뜸북 뜸북새 논에서 울고
뻐꾹뻐꾹 뻐꾹새 숲에서 울제
우리 오빠 말 타고 서울 가시면
비단구두 사가지고 오신다더니
기럭기럭 기러기 북에서 오고
귀뚤귀뚤 귀뚜라미 슬피 울건만
서울 가신 오빠는 소식도 없고
나뭇잎만 우수수 떨어 집니다.
※ 마산항입구 도로공원에 있는 시비에서..
'대한민국 구석구석 > 남파랑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파랑길 10코스 창원 마산항입구-3.15해양누리공원-청량산둘레길-청량산 해양전망대-덕동항-유산고개-구서분교앞사거리 여행기록 (0) | 2025.02.19 |
---|---|
남파랑길 8코스 창원 장천동상리마을입구-진해드림로드-안민고개-하늘마루-장복산-진해장복산조각공원-창원편백치유의숲 여행기록 (0) | 2025.02.06 |
남파랑길 7코스 창원 제덕사거리-진해해양공원입구-케이조선소길-행암항 기차길-장천동상리마을입구 여행기록 (2) | 2025.02.04 |
남파랑길 6코스 창원 송정공원-안청공원-흰돌매공원-주기철목사기념관-웅천읍성-제덕사거리 여행기록 (0) | 2025.01.23 |
남파랑길 5코스 부산 신평동교차로-낙동강하구둑-을숙도-명지오션시티-신호대교-신호항-송정공원 여행기록 (0) | 2025.01.21 |